
SNS 시대의 민낯을 조명한 문제작
2024년 개봉한 영화 〈그녀가 죽었다〉는 김세휘 감독의 장편 데뷔작으로, 변요한, 신혜선, 이엘이 주연을 맡은 미스터리 스릴러입니다. 이 작품은 SNS 문화에 중독된 현대인의 이중성과 관음증을 날카롭게 조명하며, 스릴러 장르를 통해 불편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들을 정면으로 다룹니다. 특히, SNS 속 ‘꾸며진 삶’과 그것을 지켜보는 사람의 욕망이라는 구조 속에서 관객의 불안 심리를 효과적으로 자극합니다.
줄거리: 관찰자에서 용의자로
공인중개사 구정태(변요한 분)는 고객이 맡긴 집 열쇠를 이용해, 그들의 공간에 무단 침입하여 일상을 관찰하는 이상한 취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SNS 인플루언서 한소라(신혜선 분)의 세련되고 완벽해 보이는 삶에 매료되어 그녀의 집을 몰래 드나들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어느 날, 정태는 소파에 죽은 채 누워 있는 한소라를 목격하게 되고, 놀란 그는 급히 그곳을 빠져나옵니다.
이후 정태는 누군가로부터 협박을 받기 시작하고, 강력반 형사 오영주(이엘 분)는 사건의 실마리를 좁혀가며 정태를 의심합니다. 스스로를 벗어나기 위해 정태는 한소라의 SNS를 파고들며 그녀의 주변 인물들을 추적하고, 한소라의 화려했던 겉모습 뒤에 감춰진 진실과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진실에 가까워질수록 사건은 더욱 복잡하게 얽히고, 정태는 예기치 못한 위협과 마주하게 됩니다.
비호감 캐릭터들의 매력과 섬세한 심리 묘사
〈그녀가 죽었다〉는 의도적으로 ‘비호감’ 캐릭터들을 중심에 배치하면서도, 이들의 내면을 사실적으로 풀어냅니다. 변요한은 정태의 불안정한 심리와 비정상적인 취미를 섬세하게 그려내며, 단순한 범죄자로 보이지 않게 만듭니다. 신혜선은 SNS 속 완벽한 인플루언서의 이면에 감춰진 외로움과 공허함을 진중하게 표현하였고, 이엘은 냉정하고 이성적인 형사로서 극의 긴장감을 유지합니다.
특히 이 작품의 묘미는 SNS라는 매체가 만들어내는 허상, 그리고 그것을 소비하는 자의 심리적 괴리를 섬세하게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정태가 바라보는 소라의 삶은 찬란하지만, 실상은 고립과 상처로 얼룩진 허상이었습니다. 이 간극은 현대 관객들이 SNS를 접하면서 느끼는 괴리와도 정확히 맞물립니다.
연출의 절제, 감정의 깊이
김세휘 감독은 첫 장편임에도 불구하고 과장 없이 차분한 연출로 극의 리듬을 조절합니다. 감정의 폭발보다는 억눌림, 긴박한 액션보다는 서서히 조여 오는 불안이 중심을 잡고 있으며, 음향과 카메라 워크 역시 시선의 흐름과 감정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건의 실체에 다가갈수록 관객 또한 정태의 입장에서 혼란과 긴장을 경험하게 됩니다.
영화는 ‘진짜로 보고 있는 것’과 ‘보여지는 것’ 사이의 거리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모순을 반복적으로 환기시키며, 관객으로 하여금 무의식 중 자신을 돌아보게 만듭니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한 범죄 미스터리 영화가 아니라, 시대성을 반영한 심리 드라마로 확장되는 효과를 줍니다.
넷플릭스에서의 공개와 재조명
〈그녀가 죽었다〉는 현재 넷플릭스를 통해 스트리밍되고 있습니다. 극장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초기 반응과 달리, OTT를 통해 공개된 이후 입소문을 타며 ‘재발견된 수작’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실내에서 감상할 때의 긴장감, 반복 감상을 통해 느껴지는 복선의 깊이, 캐릭터 간의 숨겨진 감정선을 차분히 음미할 수 있어 홈뷰잉 환경에서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결론: SNS 시대에 던지는 불편한 질문
〈그녀가 죽었다〉는 현대인의 삶과 괴리를 파고드는 문제작입니다. 겉으로는 미스터리 스릴러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안에는 타인의 삶을 소비하고 조작하며 살아가는 오늘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누가 죽였는가를 넘어서, 왜 그렇게 살아야 했는가를 묻는 이 영화는 결코 가볍지 않은 여운을 남깁니다.
긴장감 있는 서사와 사회적 메시지를 동시에 잡은 이 작품은, 스릴러를 좋아하는 관객뿐 아니라, 현대 사회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은 이들에게도 충분히 추천할 만한 영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