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라는 공간이 던지는 윤리적 질문
영화 『목격자』(감독 조규장, 2018)는 대한민국의 전형적인 주거 공간인 아파트를 배경으로, 무관심과 침묵이 만들어낸 사회적 공포를 다룬 스릴러 영화입니다. 주인공은 평범한 직장인 상훈(이성민 분)입니다. 어느 날 밤, 그는 우연히 창밖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을 목격하게 되며, 그 순간부터 극한의 심리적 압박에 휘말리게 됩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범죄 스릴러를 넘어, “보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윤리적 갈등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감독은 '목격자'라는 키워드를 통해 현대인이 익명성 속에서 어떻게 공동체를 외면하고, 타인의 고통에 침묵하는지를 날카롭게 비판합니다.
침묵을 선택한 자의 무게
상훈은 가족과 함께 조용한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평범한 가장입니다. 어느 날 밤, 그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 여성이 살해당하는 장면을 우연히 목격합니다. 문제는 범인 또한 누군가 자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챘다는 점입니다. 범인은 창밖을 올려다보며 미소를 짓고, 상훈은 두려움에 사로잡힌 채 그 장면을 지켜봅니다.
그는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가족의 안전을 우려해 침묵하기로 결정합니다. 하지만 그의 침묵은 또 다른 피해자를 불러오고, 사건은 점점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확산됩니다. 형사 재엽(진경 분)은 주민들의 무관심과 방관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진실에 다가가려 합니다.
아파트 이웃들 또한 모두 외면으로 일관합니다. 바로 옆집에서 살인이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몰랐다”라고 말하고, 관리실은 CCTV가 고장 났다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합니다. 이처럼 영화는 한 사람의 목격이 얼마나 복잡한 사회적 구조 속에서 의미를 잃는지를 보여줍니다.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공포
『목격자』의 공포는 유령도, 괴물도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공간에서 벌어진다는 점에서 더 무섭습니다. 영화는 스펙터클한 장면 없이도 관객에게 깊은 불안을 전달합니다.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살인을 저지른 범인이 천천히 고개를 들어, 상훈의 집을 바라보는 장면입니다. 단 한 마디 대사도 없지만, 그 시선 하나가 만들어내는 긴장감은 압도적입니다.
상훈이라는 인물은 단지 비겁한 목격자가 아닙니다. 그는 오히려 관객이 감정이입하기 가장 쉬운 인물입니다. 누구나 상훈이 될 수 있고, 누구나 그와 같은 상황에서 침묵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영화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형사 재엽과의 대비를 통해 영화는 ‘정의’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용기가 어떤 것인지 관객에게 묻습니다.
공동체의 붕괴와 윤리의 상실
이 영화는 단순한 스릴러를 넘어서 공동체의 붕괴를 냉정하게 그려냅니다. 과거에는 이웃의 일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도리’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그마저도 ‘간섭’으로 여겨지곤 합니다. 영화는 이러한 현실을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풀어내며, 우리가 얼마나 이기적으로 변했는지를 드러냅니다.
특히 공동체의 기능이 상실된 아파트라는 공간은 이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배경입니다. 옆집 사람의 고통조차 모른 척하는 사회, 사건이 벌어져도 “아무 일도 없었다”라고 말하는 사람들, 이런 이웃들의 무관심은 영화적 허구가 아닌,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그 자체입니다.
당신은 ‘그 밤’을 외면할 것인가
『목격자』는 단순히 한 남자의 이야기로 끝나지 않습니다. 영화는 끊임없이 관객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그날 밤 당신이었다면 어떻게 했겠는가.” 이 질문은 단순한 가상의 설정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일상 속에서 마주할 수 있는 선택의 문제입니다.
이 작품은 거대한 음모도, 화려한 반전도 없습니다. 대신 일상 속 침묵, 윤리적 무책임, 그리고 그로 인해 생겨난 결과를 차갑고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그 점에서 『목격자』는 뛰어난 사회적 스릴러이자, 우리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드는 영화입니다.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비명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문제는, 그 비명 앞에서 우리가 무엇을 했느냐는 것입니다. 문을 열었는가, 아니면 커튼을 닫았는가. 『목격자』는 그 선택이 인간의 윤리적 얼굴을 결정짓는다고 말합니다. 그 질문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