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밀수>는 1970년대 동해의 가상 도시 ‘군천’을 배경으로, 바닷속에서 ‘몰래’ 벌어지는 물건들의 거래, 즉 ‘밀수’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여성 중심 범죄 드라마다. 김혜수와 염정아가 주연을 맡아, 기존 남성 중심 범죄 장르와 차별화된 ‘여성 연대’와 ‘해양 범죄’를 결합한 독특한 설정으로 주목을 받았다. 특히 바닷속 밀수 장면과 수중 격투 등은 한국 영화 최초 수준의 기술적 성취를 보여주며, 감독 류승완 특유의 리듬감 있는 연출과 사회적 풍자가 더해져 작품의 완성도를 끌어올렸다.
밀수 줄거리
1970년대 군천. 다이빙 경력 10년 차의 해녀 ‘춘자’(김혜수)는 바다에서 생계를 꾸리는 강인한 여성이다. 하지만 어느 날, 군 당국의 해상 환경 정비 사업으로 인해 해녀 일터가 사라지며 생계가 위협받는다. 그런 그녀에게 밀수 제안이 들어오고, 어쩔 수 없이 '물속의 운반자'로 전락한다.
춘자의 절친이자 같은 마을 해녀인 ‘진숙’(염정아)은 춘자와 함께 위험을 감수하며 물 밑 거래에 뛰어든다. 이들은 단순한 전달책이지만, 점차 거래 규모가 커지며 마약, 군사기밀, 외화까지 다루게 되고, 그 배후엔 서울에서 내려온 야망가 ‘권상사’(조인성)가 있다.
춘자는 위험한 판에 말려든 자신과 친구들을 구하고 싶지만, 돈과 권력, 그리고 배신의 늪은 점점 깊어지고 결국 진숙과의 관계에도 금이 가기 시작한다. 목숨을 건 수중 작전, 추격, 그리고 물 위와 물아래에서 벌어지는 배신과 생존의 이야기. 이 모든 것은 결국 ‘바다’에서 시작되어, ‘여자들’에 의해 완성된다.
영화 속 주제와 해석
<밀수>는 단순한 범죄 오락물이 아닌, **1970년대 한국 사회의 이면과 여성의 생존 본능, 우정과 배신의 복합 심리**를 담아낸 작품이다.
1. 여성 중심 범죄극의 새로운 지평
기존 범죄 영화들이 남성 주도 서사에 집중했다면, <밀수>는 해녀라는 직업적 정체성을 가진 여성들이 주체가 되는 구조다. 춘자와 진숙은 단순히 누군가의 아내나 엄마가 아닌, 독립적인 생계 주체이며, 자신만의 판단과 선택으로 세계에 맞선다. 이 점에서 영화는 **여성 서사 중심의 범죄극**이라는 새로운 지형을 연다.
2. 수면 위 정치와 수면 아래 범죄
영화는 바닷속에서 벌어지는 밀수라는 설정을 통해, 보이지 않는 범죄의 세계를 시각적으로 구체화한다. 바다 밑은 은유적으로 ‘사회 시스템이 보지 못한 곳’이며, 거기서 살아남기 위해선 때론 범죄도 정당화된다. 이는 1970년대 개발독재 시기의 **불평등한 구조와 빈곤층의 생존 방식**을 상징한다.
3. 우정과 배신, 그리고 연대
춘자와 진숙의 관계는 단순한 동료가 아니라, 어릴 적부터 함께해온 ‘자매 같은 사이’다. 하지만 돈과 생존의 경계에서, 그 관계는 균열을 맞는다. 결국 그들이 택한 건 ‘진짜 적과의 싸움’이고, 이를 통해 영화는 여성 간의 연대가 얼마나 강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밀수 결말
춘자는 진숙의 배신을 알게 되지만, 그녀가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를 끝내 이해하려 한다. 반면 권상사는 배후 조직과 손잡고 진숙을 제거하려 한다. 결국 진숙은 목숨을 걸고 춘자를 구하며 과거의 우정을 회복하고, 두 사람은 마지막 밀수 작전에서 모든 것을 걸게 된다.
대규모 수중 작전 장면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로, 해녀들의 기술과 용기, 그리고 생존 본능이 극적으로 폭발한다. 결국 권상사는 체포되고, 두 사람은 바다를 떠난다.
영화는 엔딩에서 바다를 등지고 육지로 향하는 두 인물을 보여주며, “생존을 위해서가 아닌, 삶을 위해 사는 길”로 나아가는 이들의 새로운 시작을 암시한다.
결론: 물속에서 피어난 가장 강한 이야기
<밀수>는 단순한 범죄 액션이 아니다.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움직이는, 바닷속에서 피어난 **생활의 드라마이자, 사람 냄새나는 범죄극**이다.
수중 액션이라는 새로운 시도, 여성 간의 케미스트리, 1970년대 시대적 배경이 결합되어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문 개성을 완성해낸 작품. **“물속이 더 안전했던 여자들의 이야기”**는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