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박훈정 감독이 연출하고 신예 김다미가 주연을 맡은 영화 **‘마녀’**는 한국형 액션, 스릴러, SF 요소가 결합된 독창적인 장르 영화입니다.
공식 제목은 **‘마녀 Part1. The Subversion’**으로, 속편을 예고하는 형태로 개봉되었으며, 미스터리한 소녀가 겪는 혼란과 이면의 비밀을 따라가는 고밀도 심리극과 강렬한 액션의 조합으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무엇보다 김다미의 신인답지 않은 몰입감 있는 연기와 예측 불가능한 전개, 장르를 파괴하는 구성은 한국 영화계에 강한 인상을 남기며, 흥행과 작품성을 모두 인정받은 수작으로 평가됩니다.
영화 ‘마녀’ 리뷰, 조용한 일상 속 잠든 괴물, 정체를 숨긴 소녀
영화는 푸른 들판, 한 소녀가 실험실에서 탈출하는 장면으로 시작합니다.
몇 년 후, 이름 없이 떠돌던 이 소녀는 **‘구자윤’(김다미)**이라는 이름으로 시골 농가에서 양부모와 평범하게 살아가는 고등학생으로 자라납니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정체불명의 남자들과 기관의 등장, 그리고 이상한 능력이 발현되면서 자윤의 일상은 급변하게 됩니다.
자윤은 평소 두통, 기억상실 등의 증상을 앓고 있으며, 자신이 과거 어디에서 왔는지조차 알지 못한 채 살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면서, 그녀는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고, 동시에 어딘가에서 누군가가 그녀의 존재를 알아차립니다.
영화 초반은 다소 잔잔한 가족 드라마처럼 흘러가며, 자윤의 성장과정을 따르지만, 중반 이후 갑작스럽게 잔혹하고 폭력적인 진실이 드러나며 영화의 장르가 전환됩니다.
이전까지 수동적인 피해자처럼 보이던 자윤은, 사실 강력한 능력을 지닌 ‘실험체’였고, 자신의 기억을 일부러 숨긴 채 존재를 위장하고 살아왔던 인물임이 밝혀집니다.
김다미의 충격적인 데뷔, 캐릭터와 하나 된 연기
‘마녀’는 배우 김다미의 재발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녀는 단 한 편의 작품으로 수많은 영화제에서 신인상을 휩쓸며 단숨에 충무로 대세로 떠올랐고, 관객들은 낯선 얼굴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그녀에게 몰입하게 됩니다.
영화 초반의 자윤은 조용하고 수줍은 시골소녀로 등장하지만, 후반부에 이르러서는 잔혹하고 냉소적인 실험체의 정체를 드러내며 완전히 다른 인물처럼 변모합니다.
이 극단적인 이중성을 김다미는 눈빛, 말투, 얼굴 근육의 미세한 변화로 표현해 내며, 한 인물 안에 공존하는 선과 악, 순수와 폭력을 설득력 있게 그려냅니다.
특히 “기억 안 나는 줄 알았지?”라는 명대사를 시작으로 폭주하는 장면은, 전율이 흐를 만큼 강렬하며, 그녀의 내면에 감춰진 괴물성과 통제된 분노가 폭발하는 장면으로 많은 관객의 뇌리에 각인됐습니다.
이처럼 김다미는 단순한 액션 히로인이 아닌, 감정선이 복잡하고 층위 깊은 캐릭터를 성공적으로 소화하며, 영화 전체를 이끌어가는 강력한 중심축이 됩니다.
실험체 vs 인간, 통제 불능의 폭력성
‘마녀’는 겉보기에는 초능력 액션영화이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의 윤리, 과학의 폭주, 통제의 실패라는 철학적 주제가 담겨 있습니다.
자윤은 정부 혹은 비밀조직의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존재로, 그녀가 지닌 능력은 천부적인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폭력의 산물입니다.
그녀를 쫓는 조직의 인물들—닥터 백(조민수), 미스터 최(박희순), 그리고 귀공자(최우식)—는 각기 다른 목적과 시선으로 자윤을 바라보며, 조작된 생명체가 인간과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특히 귀공자 역의 최우식은 잔인하지만 어딘가 쾌락에 찬 사이코패스적 인물로 등장해, 자윤과의 대립을 더욱 극단적이고 스타일리시하게 이끕니다.
영화 후반부의 액션 시퀀스는 그야말로 폭주하는 에너지의 연속입니다. 피와 뼈가 튀고,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능력이 난무하지만, 이 폭력은 단순한 쾌감을 위한 것이 아닌, 억압된 자의 해방과 자아 회복의 은유로 읽히기도 합니다.
결론: 장르를 넘나드는 강렬한 첫 장, 그리고 더 큰 세계를 향해
‘마녀’는 단순한 상업 액션이 아닙니다.
이 영화는 청춘, 기억, 실험, 복수, 성장, 존재의 이유 등 다양한 테마를 오묘하게 결합한 복합장르 영화이며, 그 모든 요소를 강렬하게 응축해낸 신선한 시도입니다.
김다미라는 새로운 얼굴의 발견, 박훈정 감독 특유의 건조하면서도 폭발적인 대사와 연출, 그리고 속편을 예고하는 세계관의 확장성까지. ‘마녀’는 한국형 장르 영화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며, 많은 관객에게 “그 이후의 이야기”를 기대하게 만든 영화로 남았습니다.
숨죽이고 있던 괴물은 깨어났고, 이제 그녀의 진짜 이야기는 시작되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