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아가씨' 리뷰 (심리 스릴러, 여성 서사)

by 하고재비 라이프 2025. 7. 20.

영화 '아가씨' 리뷰
영화 '아가씨' 리뷰

 

 

 

박찬욱 감독의 2016년 작품 **‘아가씨’**는 영국 작가 사라 워터스의 소설 『핑거스미스』를 조선 시대 배경으로 각색한 미장센이 돋보이는 심리 스릴러이자 파격적인 로맨스 영화입니다.
상류층 여성과 하층민 소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계급, 성, 욕망, 자유의지에 대한 질문을 감각적으로 풀어낸 이 작품은 칸 영화제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무엇보다 두 여성의 연대와 해방 서사로서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영화 '아가씨' 리뷰, 두 여성의 연대, 속임수로 시작된 진짜 사랑

영화의 시작은 사기꾼 ‘숙희’(김태리)가 귀족 여성 ‘히데코’(김민희)를 속이기 위한 계획에 합류하면서 시작됩니다.
숙희는 백작 신분을 사칭하는 ‘후지와라’(하정우)의 사기극에 가담해, 히데코를 유혹하고 결혼시킨 후 정신병원에 보내려는 계획에 동참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숙희는 점점 히데코에게 진심 어린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 관계는 처음의 계산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아가씨’는 3막 구조를 통해 하나의 사건을 각기 다른 인물의 시선으로 반복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는 관객에게 사건의 맥락과 감정을 다시 바라보게 하며, 겉으로 드러난 ‘사기극’이 사실은 억압받는 여성들의 해방극이었음을 깨닫게 합니다.
무엇보다도 히데코와 숙희의 시선이 점차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진정한 연대를 만들어가는 서사는, 단순한 로맨스 이상으로 확장됩니다.


박찬욱 스타일의 미장센, 파격과 섬세함의 공존

‘아가씨’는 시각적 연출과 미장센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박찬욱 감독 특유의 구성적 아름다움이 극대화되어 나타납니다.
촬영감독 정정훈과 함께 만들어낸 장면들은 클래식한 조선시대 배경과 일본풍 건축물, 기괴하면서도 고전적인 미의 조화를 통해 독특한 시청 경험을 제공합니다.

특히 영화 속 미로 같은 저택은 억압된 여성의 정신세계와 사회적 고립을 상징하며,
종이문, 복도, 욕조, 나무 계단 등 각종 구조물들이 인물의 감정을 시각화하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그 속에서 박 감독은 에로틱하면서도 절제된 감정 묘사, 잔혹하면서도 시적인 폭력의 연출을 통해
관객을 불편하게 만들면서도 빠져나올 수 없게 만듭니다.

또한, 인물의 심리를 따라가는 사운드 디자인, 소품 하나하나의 배치, 그리고 조명과 색감의 대비는
단지 ‘예쁜 그림’을 넘어선 서사 중심의 시각 연출로, 이 영화가 시네필들에게 사랑받는 이유가 됩니다.


억압에서 해방으로, 여성 중심 서사의 전환점

‘아가씨’는 단순히 로맨스나 스릴러 장르의 혼합이 아닙니다.
이 영화는 가부장제의 구조 안에서 목소리를 잃었던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만의 서사를 되찾아가는지를 보여주는 서사적 전환점입니다.
히데코는 어린 시절부터 고문서와 음란물을 낭독하는 역할을 강요당해 왔으며, 그것은 여성의 신체를 타인의 시선에 종속시키는 구조를 상징합니다.

숙희는 그런 히데코를 처음에는 ‘사기’의 대상으로 보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녀의 상처와 억압을 이해하게 되며,
결국엔 공모자이자 해방자로서 함께 탈출합니다.
이들의 연대는 단순한 로맨스가 아닌, 억압적 시스템에 대한 반격이자 자유를 향한 상호적 투쟁입니다.

영화는 노골적인 남성의 시선, 계급적 구조, 섹슈얼리티의 착취를 해체하면서,
‘여성 서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특히 두 주인공 모두 ‘구해지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를 구원하는 주체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2010년대 한국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결론: 속임수 같은 세상 속에서 진짜를 마주한 두 사람

박찬욱의 ‘아가씨’는 기억, 계급, 성적 정체성, 자유, 연대라는 키워드를 한 화면 안에 담아낸,
정교하고 감각적인 예술 영화입니다.
단순한 미스터리를 넘어, 속임수와 계략으로 둘러싸인 세계 속에서 진짜 감정과 진짜 사랑만이 해방의 열쇠가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두 여성이 세상의 틀을 부수고 떠나는 마지막 배 장면은,
마치 속박된 세계에서 벗어나 진정한 ‘나’로 살아가는 선언처럼 느껴집니다.
그것은 단지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날 관객의 삶에도 유효한 연대와 자아의 메시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