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개봉한 김성수 감독의 영화 ‘아수라’는 현실과 지옥이 뒤섞인 듯한 극한의 부패 세계를 그린 한국형 누아르 영화입니다.
정우성, 황정민, 곽도원, 주지훈 등 걸출한 배우들의 강렬한 열연과 함께
권력, 경찰, 정치, 범죄의 경계가 무너진 세계 속에서 인간의 추악한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냅니다.
제목 그대로 ‘아수라(阿修羅)’, 즉 지옥에 가까운 혼돈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악인들의 사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부패 구조를 은유적으로 조명합니다.
영화 '아수라' 리뷰, 선도 악도 없는 세계, 그 속의 생존자들
영화 ‘아수라’는 도입부부터 강렬합니다.
주인공 한도경(정우성)은 안남시장의 충견 역할을 하며 온갖 불법과 살인을 서슴지 않는 부패 형사입니다.
하지만 그는 동시에 검찰의 스파이 노릇까지 하며 이중 플레이를 이어갑니다.
그의 상관인 시장 박성배(황정민)는 도시 전체를 지배하는 악의 권화로 묘사되며,
그의 권력을 지키기 위한 무자비한 통제와 살인은 영화의 긴장을 끌어올립니다.
이 세계엔 정의로운 인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경찰, 검찰, 정치인 모두 각자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며,
한도경은 병든 아내를 살리기 위한 돈 때문에 스스로 악의 늪에 더 깊이 빠져들고,
결국 그를 옥죄는 것은 외부의 악이 아니라 그가 만든 선택의 대가입니다.
감독은 선악의 이분법이 아닌, 생존 본능이 지배하는 정글을 그려내며
관객에게 도덕적 판단을 유보하게 만듭니다.
이 영화에서 ‘악인’은 없고, 오직 생존자만이 존재합니다.
압도적인 연기, 대사, 연출 — 숨 쉴 틈 없는 몰입감
‘아수라’는 배우들의 대사와 눈빛만으로도 분위기를 압도하는 영화입니다.
황정민은 ‘신세계’의 중간보스와는 차원이 다른, 권력의 화신 같은 ‘시장’ 캐릭터를 연기하며
극 중 긴장감을 책임지고, 정우성은 전작들과는 다른 어두운 인물로 변신해 깊은 내면 연기를 보여줍니다.
곽도원, 주지훈 역시 이 권력의 먹이사슬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로를 속이고 협박하며 인간 본성의 밑바닥을 들춰냅니다.
무겁고 진지한 연기톤이지만, 각본에 녹아든 리듬감 있는 욕설과 날선 대사는
이 영화가 단지 어둡기만 한 누아르가 아니라는 점을 증명합니다.
또한 촬영, 조명, 음악, 미술 모두가 하나의 유기적 폭력 세계를 구성하며,
특히 후반부 피바다로 변하는 장면들은 한국 영화사에서도 손꼽힐 만한 비주얼적 강렬함을 자랑합니다.
감독 김성수는 기존 액션과 느와르의 경계를 허물며
‘아수라’를 하드보일드 현실 폭력극의 정점으로 끌어올립니다.
부패의 피라미드, 끝없는 지옥도의 반복
‘아수라’는 단순히 한 형사의 타락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가 아닙니다.
이는 부패가 어떻게 시스템화되고, 개인을 갈아 넣으며 유지되는지에 대한 잔혹한 해부입니다.
도경은 누구보다 ‘일 잘하는’ 경찰이었지만, 그의 능력은 정의를 위해가 아닌
‘시장의 지시’를 따르는 도구로 쓰였고,
검찰마저 정의가 아닌 정치적 출세를 위해 부패 구조를 기꺼이 이용합니다.
영화 후반부, 도경은 자신의 선택으로 인해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모든 관계가 끊긴 채 절대 악인 시장과 피비린내 나는 마지막 결투를 벌입니다.
그러나 그 끝에도 구원은 없습니다.
악인을 죽여도 그를 대체할 또 다른 악이 나타나고,
지옥 같은 구조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갑니다.
이런 권력 구조의 자기 복제는 영화의 진짜 공포이자 메시지입니다.
감독은 극단적인 폭력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경고를 전하며,
한국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의 민낯을 과감하게 드러냅니다.
결론: 피로 그린 현대판 지옥도
‘아수라’는 단지 범죄 영화, 액션 영화로 규정할 수 없습니다.
이 영화는 한국 사회의 부조리와 시스템적 폭력을 통렬하게 압축한 지옥도입니다.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한 남자의 몰락을 통해,
그를 그렇게 만든 구조와 사회 전체에 질문을 던집니다.
정의로운 해결도, 착한 주인공도 없는 이 영화에서
관객은 오히려 현실과의 씁쓸한 유사성에 충격을 받게 됩니다.
이 영화가 남기는 것은 통쾌함이 아니라, 끈적한 불편함과 사유입니다.
2024년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 영화 ‘아수라’는,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이 정말 다르냐는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