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30일>은 이혼을 앞둔 부부가 **동시 기억 상실**이라는 뜻밖의 사고를 겪으며 벌어지는 30일간의 유쾌하고 따뜻한 이야기를 그린 로맨틱 코미디다. 냉랭했던 관계가 기억을 잃은 순간부터 다시 웃음을 되찾고, 사랑의 본질을 돌아보게 되는 과정을 현실적이면서도 코믹하게 풀어낸다. 강하늘과 정소민의 생활 밀착형 연기와 ‘웃기면서 찡한’ 전개가 관객들의 감정을 웃음과 공감으로 연결시키며, **연인 혹은 부부에게 강력 추천할 수 있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30일 줄거리
변호사 ‘정열’(강하늘)과 영화 각본가 ‘나라’(정소민)는 결혼 3년 차, 서로를 향한 애정이 바닥나 결국 **이혼을 결정**한다. 이유는 사소하다. 너무 다른 성격, 생활 습관, 말투, 취향… 결혼 전엔 사랑스러웠던 차이가, 결혼 후엔 서로를 미치게 만드는 지점이 되어버렸다.
이혼 서류 제출만을 앞두고 있던 두 사람은 우연히 동시에 교통사고를 당하고, 놀랍게도 **둘 다 기억을 잃게 된다.** 그리고 ‘이혼 예정 부부’라는 사실도 모른 채 각자의 가족과 친구들에 의해 다시 한 집에서 생활하게 된다.
초반엔 서로를 경계하고 낯설어하지만, 기억이 없기에 오히려 ‘선입견 없는’ 관계가 시작된다. 기억을 잃기 전엔 싸움만 하던 두 사람이, 이젠 웃고, 배려하고, 함께하는 시간을 즐기며 서서히 서로에게 다시 끌리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정열과 나라가 과거의 흔적들을 마주하며 조금씩 진실에 접근하게 되고, 결국 자신의 과거가 ‘이혼 직전의 부부’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 **과연 이들은 과거를 되찾은 뒤에도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영화 속 주제와 해석
<30일>은 단순한 기억 상실 로맨스가 아닌, **관계의 본질, 감정의 회복, 그리고 두 사람 사이에 남아 있는 가능성**에 대해 묻는 작품이다.
1. 사랑의 ‘감정’은 사라져도 ‘기억’은 남는다?
영화는 사랑이 식은 부부가 기억을 잃자 다시 서로를 좋아하게 된다는 역설적 상황을 보여준다. 이는 사랑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기억의 누적’이 만들어낸 결과일 수 있다는 철학적 질문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기억을 지운 상태에선 마음도 다시 열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관객에게 ‘처음처럼’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가를 묻는다.
2. 관계의 재시작은 가능한가?
이 영화의 핵심은 ‘재시작’이다. 한 번 망가졌던 관계가 다시 시작될 수 있는가? 감정은 회복될 수 있는가? 정열과 나라가 과거를 알게 되면서 겪는 혼란은 바로 모든 부부, 연인이 한 번쯤 겪는 ‘상처의 회상’과 닮아 있다. 그러나 영화는 이 과정을 유쾌하게 그리며, 다시 사랑하기 위한 용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일상의 소중함에 대한 회복
기억을 잃은 후 두 사람이 함께하는 장면들은 잔잔하지만 진심 어린 일상으로 가득 차 있다. 가사 분담, 함께 밥 먹기, 퇴근길 기다려주기 등 사소하지만 소중했던 순간들이 과거에는 불만의 원인이었지만, 기억이 사라진 뒤엔 ‘좋은 기억’으로 남는다. 이러한 흐름은 **관계에서 중요한 건 거창한 이벤트가 아니라, 매일의 작은 선택과 태도임**을 말해준다.
30일 결말
결국 두 사람은 기억을 모두 회복한다. 그리고 함께했던 소중한 순간들도, 사소한 다툼과 감정의 골도 되살아난다. 한동안 서로를 피하지만, 각자 사진과 일기,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 얼마나 서로를 배려하고 아꼈는지를 깨닫게 된다.
이후, 이혼 서류를 찢고 ‘처음부터 다시 만나보자’는 고백으로 영화는 감동적인 결말을 맺는다. 마지막 장면에서 두 사람은 “30일만 더 살아볼까?”라는 대사와 함께 새로운 일상의 시작을 암시하며 따뜻한 여운을 남긴다.
결론: 기억이 사라져도 마음은 남는다
<30일>은 웃기고, 유쾌하며, 현실적이지만 결국엔 감동적인 이야기다. 관계가 지치고 무뎌졌을 때, 가장 필요한 것은 서로를 향한 첫 마음과 일상의 배려임을 말해준다.
기억을 잃어야만 다시 사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로 완성된다는 것. 이 영화는 그 사실을 웃음과 눈물 사이에서 진심으로 전한다.